※ 일러스트레이터가 한글버전이라 캡처본은 모두 한글버전 기준입니다. 영어 명령어와 단축키 표기 참고바랍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그냥 보기에는 깔끔해보이는 도형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선들이 겹쳐져서 두갈래가 되어있고 엉켜있는 선들이 있다. 일러스트파일 그대로 금형을 만들거나 제판을 하기 위해서는 겹쳐진 선들을 모두 정리하는 것이 좋다. 업체에 ai파일을 보내기 전 확인은 필수! 선이 겹쳐져있으면 나중에 작업물이 깔끔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기기에서는 솔직하게 선으로 된 모든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한 개인 줄 알았던 선이 두 개가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겹쳐있는 선 확인하기 ▶ Ctrl+Y 겹쳐진 선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해야하는 기능 키는 아웃라인 뷰(Outline view)이다. 위 이미지..
※ 일러스트레이터가 한글버전이라 캡처본은 모두 한글버전 기준입니다. 영어 명령어와 단축키 표기 참고바랍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려고하면 다양한 만큼 다채로운 형태가 설계된 디자인일 경우가 많고, 그만큼 복잡한 도형일수록 분리된 개체수가 많기 때문에 그룹이 안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단 합친 후에 사진을 넣든 다른 그래픽을 넣든 해체해서 재조합을 할 수 있는데 그룹화가 안먹히는 순간 그게 힘들어진다. 그룹화가 안먹힐 때는 컴파운드 패스를 만들면 작업하기 손 쉽다. 컴파운드 패스를 잘 활용하면 디자인 작업시 일러스트레이터 사용성을 높혀준다. 그룹화 오류 복잡한 도형들을 그룹으로 만들려했는데 안먹히는 경우에 아무리 그룹(Ctrl+G)를 해도 그룹화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패스파인더로 합치고..
※ 일러스트레이터가 한글버전이라 캡처본은 모두 한글버전 기준입니다. 영어 명령어와 단축키 표기 참고바랍니다. 정확한 수치로 작업할 때 도형의 정확한 개수를 필요로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에서 선의 개수를 확인한 좀 더 촘촘하게 블랜드 작업을 하기위해 수치를 확인하여 작업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하나 하나 세고 있기에는 많은 양. 그럴 때는 각 개체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난 정말 하나하나 세고있던 사람이었다. 방법을 알아내고 나름대로 유레카를 외쳤기에 다른 분들은 이걸 보고 노가다 덜 하시길... 윈도우 창에서 필요한 메뉴 꺼내기 ▶ 문서 정보 Document info. 한글 버전은 [메뉴] > [윈도우] > [문서 정보] 이며, 영어 버전은 [Menu] > [Window..
※ 일러스트레이터가 한글버전이라 캡처본은 모두 한글버전 기준입니다. 영어 명령어와 단축키 표기 참고바랍니다. 도트 선을 그렸다면 그 형태들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유선형 디자인이나 선을 블렌드하는 작업을 하기도 하는데, 일러스트레이터의 Warp, Mesh 그리고 Blend 툴로 움직이다보면 도트들이 정확한 원 형태를 띄지않고 점점 찌그러져진다. 그런 찌그러진 형태들을 어떻게 하면 원상복구 시키는 지에 대한 작업을 공유한다. 아래 그림은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형태가 찌그러진 상태 예시. 작업 전, 개체화 시키기 ▶ 그룹 풀기 묶여있는 형태가 아닌 지 확인한다. 만약 도형을 선택했을 경우 각 작은 도형별로 따로 선택이 안되고 전체가 선택된다면 묶여있는 경우이므로, 도형을 클릭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아래..
디자인 사이트의 그래픽 작업들을 보면 위와 같이 도트들이 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형태를 볼 수 있다.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형태일 수도 있고 그저 유선형 선을 따라 가는 도트 디자인일 수도 있다. 이런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선을 그린 다음, 그 위에 원형 도트를 쉽게 그리는 방법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집에서 쓰는 일러스트레이터가 한글버전이라 캡처본은 모두 한글버전 기준으로 보여질 예정이다. 단, 아는 선에서 영어 명령어와 단축키를 표기하니 참고. 원형 그리기 ▶ 단축키: L 가장 먼저 도트 라인으로 만들 기본 선을 그린다. 그냥 도트 라인이 아닌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선들 위에 원형 형태를 만들기 위해 기본이 되는 선을 2종류를 그린다. 나중에 2개의 선을 서로 블렌드(Blend)시킬 예정이다. 선택 후 잘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